본문 바로가기

PSAT/언어논리

2019년 5급 공채 PSAT 언어논리(가책형) 14번 오답 풀이

반응형

기본 세팅

뭘 들었는지 알기 위해서 이제 진술을 보자

네 진술 중 하나만 틀렸다고 하는데, 일단 다 맞다고 치고 접근해 보자.

1번 진술

일단 이렇게 정리할 수 있다. 

 

2번 진술

그럼 대우를 썼을 때 1번 진술과 대치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렇다면 1, 2번 진술 중 하나가 틀린 것일까?

 

근데 3, 4번 진술을 보면

3번 진술

 

4번 진술

이것도 양립이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2, 4번 빼고 1, 3번만 맞는 것일까?

하지만 세 진술이 참이라고 했다.

 

이 문제를 떠올려야 했던 것 같다.

2025.03.19 - [PSAT/언어논리] - 2014년 5급 공채 PSAT 언어논리(A책형) 32번 오답 풀이

 

2014년 5급 공채 PSAT 언어논리(A책형) 32번 오답 풀이

충돌하는 조건이 보인다. 어떻게 해야 하지?X는 Y다.X는 ~Y다.  이 두 명제가 참이라면 이걸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이럴 때에는 X가 없다는 것으로 받아들이면 된다.  진리표에 의해 P -> Q P(T),

ltp12074.com

14년도 문제에서 봤던 것처럼 

P -> Q

P -> ~Q

가 동시에 참이라면 

P가 거짓이어야 한다. 

 

1, 2번 진술을 보면

 

P -> Q

P -> ~Q

를 보이고 있고

 

3, 4번 진술은 

 

P -> Q

P ∧ ~Q

이렇게 되어 있는데, 이건 명백하게 양립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다.

 

그래서 1, 2번 진술이 참이고 3, 4번 진술 중 하나가 거짓이라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성격 심리학>은 들어야 하는 것이다. 

 

3번 진술이 참인 경우

앞서 <성격 심리학>은 들어야 한다는 것을 봤다. 

 

그래서

 

3번 진술이 참인 경우

 

적어도 <인지심리학>도 들어야 한다. 

한편, 3번 진술이 참이면 4번 진술은 거짓이므로

<발달심리학>도 들을 수 있다.

<임상심리학>에 대해서는 별 다른 제약이 없으므로 

 

네 개의 수업 모두 들을 수 있는 것이다. 

 

4번 진술이 참인 경우

그럼 <인지심리학>과 <발달심리학> 모두 못 듣는 것이 된다. 

이 경우에도 <임상심리학>에 대한 조건이 없으므로 

들을 수도 있고 듣지 않을 수도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최대로 들을 수 있는 수업은 

3번 진술이 참일 경우로, 4개이고

 

최소로 들을 수 있는 수업은 

4번 진술이 참인 경우로 1개가 된다. 

 

답: 3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