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번
2011년 데이터를 보면 충원율이 100%라고 되어 있는데, 이건 지원 인력에 관한 정보다.
충원율이 현원/정원인 만큼, 25/25로 계산되기 때문에 100%가 되는 것이다.
나머지도 보면
21/20 = 1 + 1/20 = 1.05
17/18 = 1 - 1/18 = 정확히는 모르겠지만 일단 90보단 큼
14/15 = 1 - 1/15 정확히는 모르겠지만 일단 90보다 크고, 17/18보다는 적음
12/15 = 1 - 3/15 = 1 - 1/5 = 0.8
1번. O
2번
연구인력하고 지원인력밖에 없으니까 한 비율만을 구하면 나머지는 구할 필요가 없는 구조다.
근데,
2007 12/91
2008 14/93
2009 17/94
2010 21/96
2011 25/97
이걸 어떻게 일일이 계산하고 있을 것인지?
못한다. 그냥 일단 매년 현원에서 지원 인력 비율이 커지고 있다는 것만 알 수 있을 뿐이다.
그래서 일단 넘긴다.
3번
이것도 2007년 빼고는 계산하기 어렵다.
다만 계속 감소하고 있다는 것만 확실히 알 수 있을 뿐이다.
그리고 1/7 = 14.3이라는 데서 뭔가 맞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일단 넘긴다.
4번
이건 쉽다.
4번은 확실히 맞다고 볼 수 있다. (단위를 10세로 장난치지 않은 이상)
4번. O
5번. 주어진 건 평균액수 . 구하라는 건 총액
연봉 지급 총액을 알아야 한다.
근데 주어진 정보는 평균 연봉 지급액이다.
그래서 연구인력 수에 연구 인력 평균 연봉 지급액을 곱하고,
지원 인력도 동일하게 해야 한다.
근데, 이거 시간 오래 걸린다.
일단 보이는 것은, 평균 연봉 지급액은 보통 연구 인력이 더 높기는 하지만
그리 차이가 많이 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면
평균 연봉 지급액이 동일하다 치고 진행해 볼 수 있는데,
이렇게 하면 비율은 2번 선지 비율과 유사해야 한다.
근데,
마치 평균 연봉 지급액마냥 차이가 별로 안 난다.
그래서 5번. X
답: 5번
5번 관련해서, 연구 인력하고 지원 인력 수가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엑셀로 계산해 본 결과,
소수점 아래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을 하면 정확히 5번에 나온 값과 동일해진다.
평균값을 가지고 각 그룹에 몇 명이 있는지 따지지 않고 그냥 단순히 합산하는 것을 지양해야 한다.
'PSAT > 자료해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3년 5급 공채 PSAT 자료해석(인책형) 26번 오답 풀이 (0) | 2025.02.21 |
---|---|
2013년 5급 공채 PSAT 자료해석(인책형) 23번 오답 풀이 (0) | 2025.02.21 |
2013년 5급 공채 PSAT 자료해석(인책형) 19번 오답 풀이 (0) | 2025.02.21 |
2013년 5급 공채 PSAT 자료해석(인책형) 17, 18번 오답 풀이 (0) | 2025.02.19 |
2013년 5급 공채 PSAT 자료해석(인책형) 6번 오답 풀이 (0) | 2025.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