ㄱ. 공식이 없다고 쫄지 말자!
경지면적을 어떻게 구하지?
따로 식이 주어져 있지는 않지만
'가구당 면적'에서 힌트를 얻었어야 한다.
그러니 C 마을의 경지면적은 1.95 * 58
D 마을의 경지면적은 2.61*23
E 마을의 경지면적은 2.75*16
근데, 2.61*23 + 2.75*16을 어떻게 하지?
그냥 일단 2.75*39라고 치자.
(물론 이보다는 작지만)
그러면
1.95에서 2.75는 못해도 30%는 올랐고
39에서 58은 19 오른 건데, 거의 50% 오른 셈이다.
그렇기 때문에 C 마을 경지면적이 더 큰 것이다.
ㄱ. O
ㄴ.
가구당 주민 수가 가장 많은 마을은 A아니면 D다.
D하고 A 둘 다 가구 수에 5배를 해 보면
A - 1220
D - 115
D는 가구 수가 주민 수에 비해 5배 많지 않다.
그러므로 A가 가구당 주민 수가 가장 많은 마을이 되는데,
가구당 돼지 수는 D가 A보다 많다.
ㄴ. X
ㄷ.
A마을 젖소 수가 80% 감소하면
9*8 = 72.
18마리가 된다.
그럼 마을 전체 젖소 수는 150 - 72 = 78이 된다.
전체 돼지 수는 769마리. 10% 이상은 된다.
ㄷ. X
답: 3번
답은 나왔지만 ㄹ.도 보자
ㄹ.
아까 ㄱ.에서 D 마을 경지면적과 E 마을 경지면적을 봤는데,
D - 2.61*23
E - 2.75*16
D 마을 젖소와 돼지 수는 각각 12, 46마리
E 마을 젖소와 돼지 수는 각각 8, 20마리
일단 분자(경지면적)는 D가 더 크다.
얼마나 더 크냐? 곱해봐야 아는데, 그럼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니까 추정만 할 수 있다.
16에서 23까지 40% 정도 증가율을 보이고,
2.61에서 2.75까지 10% 미만의 증가율을 보이는데,
40% 이상과 10%미만이라는 각 증가율이 서로를 상쇄하면
일단 잘은 모르겠지만 높아봤자 증가율은 40% 정도가 된다.
이제 분모로 따지면
젖소 수는 D 마을이 E 마을보다 50% 더 많고
돼지 수는 못 해도 100% 더 많다.
그럼 어떤 경우든 분자 증가율보다 분모 증가율이 더 크므로
젖소 및 돼지 1마리당 경지면적은 D마을이 E 마을보다 좁다고 할 수 있다.
ㄹ. O
'PSAT > 자료해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3년 5급 공채 PSAT 자료해석(인책형) 23번 오답 풀이 (0) | 2025.02.21 |
---|---|
2013년 5급 공채 PSAT 자료해석(인책형) 20번 오답 풀이 (0) | 2025.02.21 |
2013년 5급 공채 PSAT 자료해석(인책형) 19번 오답 풀이 (0) | 2025.02.21 |
2013년 5급 공채 PSAT 자료해석(인책형) 17, 18번 오답 풀이 (0) | 2025.02.19 |
2013년 5급 공채 PSAT 자료해석(인책형) 6번 오답 풀이 (0) | 2025.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