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SAT/자료해석

2013년 5급 공채 PSAT 자료해석(인책형) 6번 오답 풀이

반응형

ㄱ. ㄴ. ㄷ. ㄹ. 순서대로 볼 필요 없다. 쉬운 것부터 보자. 제발!

이 문제는 ㄷ을 보고 ㅁ.을 봤다면 답이 정말 쉽게 나오는 문제다

근데, ㄱ.이 까다롭다보니 ㄱ.에서 씨름하고 있으면 풀기가 정말 어려워지는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쉬운 것부터 꼭 확인해야 한다는 것을 다시 상기시켜주는 문제다. 

ㄱ. 이거 계산기 필요한 거 아니요? - 도망쳐

사실 도망쳐야 하는 선지였다.

계산기를 동원하는 치트키 방법

완전 무식하게 하자면

위와 같은 계산 과정을 통해 실제로는 전체 등록 장애인 수가 2010년에 전년대비 3.4%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근데, 이거는 계산기를 동원해서 한 것이고, 

계산기 없이 어떻게 알 수 있을까?

 

문제 풀이를 위한 기본적인 아이디어

 일단 간단한 것부터 생각해보자. 

2009년 총 인구가 20명이라고 치자. 

여성 10명

남성 10명

 

그리고

2010년에

여성 12명

남성 15명

으로 늘어났다면 

각각 20%, 50% 늘어난 것이다. 

 

그럼 총 증가율은? 

물론 이렇게 해서 35% 증가했다는 것을 알 수도 있다. 

 

근데, 더 나은 방법이 있다. 

이렇게 산술평균으로도 몇% 증가했는지 알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이게 가능한 것은 

2009년에 여성과 남성 수가 모두 10으로 동일해서 

1:1의 비율을 유지하고 있었기에 가능한 것이다. 

 

'그럼 1:1의 비율을 유지하지 않으면 전혀 쓸모 없는 것 아니요?'라고 할 수도 있지만 

그렇지 않다. 

 

다음과 같이 1:1의 비율이 아닌 상황을 보자

둘 다 마찬가지로 20%, 50% 증가했다. 

 

근데, 2009년에 여성과 남성 비율이 2:3이다. 

즉, 1:1.5가 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산술평균을 구할 때에는

50에 1.5를 곱해줘야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47.5%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접근해서 ㄱ.이

참인지 알 수 있다. 

 

본격적인 문제풀이

근데, 일단 2009년에 여성과 남성 각각 몇 명 있는지 당연히 모른다. 

그럼, 비율은 어떻게 할 수 있을까?

그냥, 여성의 경우, 2010년 데이터를 그대로 사용한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증가율이 0.5%로, 크게 증가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렇다. 

 

남성의 경우, 1,000,000의 10%는 100,000이고,

5%는 50,000이니까

한 1,400,000 정도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다. 

 

그러면 105:140인데,

1:1.4는 안 되니까 1:1.3이라고 할 수 있다. 

(계산기 두드려본 결과 1:1.326 정도 된다)

 

그래서 

위와 같이 계산할 수 있고, 분자가 8이 안 되므로 4% 증가에 미치지 못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ㄱ. O

 

ㄴ.

6급 장애인 수가 가장 많다.

앞서 봤다시피, 전체적으로 장애인 수가 한 3%정도 올랐는데, 

6급 장애인 수가 가장 많이 증가했다고 볼 수 있다. 

근데, 그렇게 볼 근거가 없다. 

6급 장애인 수는 2009년과 동일한데, 

예를 들어, 3급 장애인 수가 10% 올랐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ㄴ. X

 

이제 ㅁ.만 보면 된다. 

 

ㅁ.

차이가 가장 적은 급수는 4급. 

가장 큰 급수는 6급. 

190 + 204 = 394. 

400도 안 넘으므로 ㅁ.은 맞다. 

 

답: 3번

 

답은 나왔지만 다른 선지도 보자

 

ㄷ. 이것부터 볼 걸!

5급 합은 248 + 279 = 527

6급 합은 204 + 390 = 594

 

527 + 594 = 1121

50%가 절대 될 수 없다. 

 

ㄷ. X

 

ㄹ.

6급이 가장 많다. 6급 남성 장애인 수는 390

1급이 가장 적어 보인다. 1급 남성 장애인 수는 125

125에 3을 곱한다고 해도 390을 넘을 수 없다. 

 

ㄹ. O

 

진짜 ㄱ.하고 ㄴ.(ㄱ.에 비할 바는 못 되지만) 빼면 쉬운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쉬운 선지부터 보자. 제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