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PSAT/언어논리

2012년 5급 공채 PSAT 언어논리(인책형) 11번 오답 풀이 일단 표 만들기이 조건으로부터위와 같이 세팅할 수 있다. 그리고 다음 조건을 보면정희가 배우는 언어는 모두 영희도 배운다는 데서,정희가 4개국어를 다 한다고 쳐 보자.(물론 많아야 3개국어라는 조건이 달려 있지만, 정희가 현재로서는 어떤 언어를 할지 모르기에)그러면 영어는 한 사람만 배우고 있다는 데서, 정희는 영어를 배우고 있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정희나 철수가 배우는 언어는 순이가 배우지 않는다는 데서, 정희, 철수, 영희가 배우고 있는 순이는 언어는 배우지 않는다. 그래서 영어는 순이가 배우는 것으로 되고, 불어는 정희와 영희가 배우는 것으로 확정 난다.  그리고 일본어를 3명이 배운다는 데서, 정희와 영희, 그리고 철수가 일본어를 배우게 된다.  독일어에 대해서는순이는 배울 수가 없다. 왜냐.. 더보기
2012년 5급 공채 PSAT 언어논리(인책형) 10번 오답 풀이 조건 확인첫번째 조건일단 D가 없다는 데서이렇게 되는데, '검사 방법 사용 순서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라. 두번째 조건각 검사 방법을 한 번씩 사용했고, 양성이 나왔다는 것이다. 검사 방법 사용 순서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는 만큼, 각 방법이 어떤 순서로 실행되었는지 알아야 한다. 이제 검사 방법을 확인해 보자 검사 방법알파 방법베타 방법감마 방법'적어도 감마 다음에 베타가 등장해야 한다'고 착각할 수 있다. 근데, 베타 방법을 아직 쓰지 않았다는 것은 음성이 나올 조건 중 하나다. 그렇다면 양성이 나오려면 1. 베타 방법을 이전에 사용했거나 2. B와 D 중 적어도 하나가 있어야 한다. 델타 방법감마 다음에 델타가 등장한다는 것을 알게 됐다.문제 풀이감마보다 베타가 먼저 쓰이면 감마 방.. 더보기
2012년 5급 공채 PSAT 언어논리(인책형) 3번 오답 풀이 지문 이해하기화학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조건에 대해서 말하고 있다. 에너지 장벽을 넘어야만 화학반응이 일어난다는 것인데, 그 뒤에 이어지는 문장은  반응물 에너지 당연히 일어나지 않는다는 점에서 생성물 에너지가 에너지 장벽에 미치지 않는다는 점을 알 수 있고, 그렇기 때문에반응물 에너지 > 생성물 에너지일 때도 생성물 에너지가 에너지 장벽보다 낮기 때문에 반드시 화학 반응이 일어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반응물 에너지가 생성물 에너지보다 큰 에너지 장벽을 넘어야만 화학반응이 일어남을 알려주고 있다.여기서 중요한 것은 에너지 장벽의 높이에 따라 화학반응 속도가 증가되거나 감소되기도 하는데,이 에너지 장벽의 높이는 촉매로 조절할 수 있다고 한다. 그렇다면 수요가 큰 화학제품의 경우, 에너지 장.. 더보기
2020년 민경채 PSAT 언어논리(가책형) 23번 오답 풀이 ㄱ. 가설 1은 대립가설이고 가설 2는 영가설이다.이건 너무 당연하다. ㄱ. O ㄴ.의 결과는 대립가설을 강화한다.이걸 처음 읽으면서 들었던 생각은 이랬다.  원래 쥐는 갈림길에서 원하는대로 갈 수 있었는데실험자가 개입해서 오른쪽으로만 가게 하거나 왼쪽으로만 가게 '강제'한 것이다.  그러고 나서 이번에는 강제 없이 그냥 갈림길을 가게 했더니 강제로 갔던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갔다는 것이다. 원래 왼쪽으로 갈 쥐였는데 '강제'로 길을 막아서 오른쪽을 갔고원래 오른쪽으로 갈 쥐였는데 '강제'로 길을 막아서 왼쪽으로 갔다면  이 실험이 쥐에게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았기 때문에 영가설을 입증하는 사례로 활용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왜냐하면 어차피 그쪽 방향으로 갈 성향의 쥐였는데 괜히 막아서 어쩔 수 없이.. 더보기
2020년 민경채 PSAT 언어논리(가책형) 12번 오답 풀이 고정적인 것 찾기 - 세번째 조건일단 고정적인 것부터 확인.  E와 관련된 조건 찾기 - 첫번째 조건그렇다면 대우로는 'D와 E 모두 참석하지 않으면 A, B, C 가운데 적어도 한 사람은 참석하지 않는다'가 된다.  근데 일단 D까지 무조건 참석하지 않는지는 잘 모른다.  그래서 다른 조건도 본다. 네번째 조건E는 참석 못하는 게 확정이므로 대우를 써서 보면'C와 E  적어도 한 사람이 참석하지 않으면 F와 G는 참석하지 않는다.'가 된다.  왜 '적어도 한 사람이 참석하면'을 부정하면 '참석하지 않는' 것이 되냐면 F나 G 가운데 적어도 한 사람이 참석하는 경우는 위와 같이 세 경우가 있다. 그런데, F와 G의 경우의 수는 4가지다. 위에서 3개를 봤는데, 하나가 빠졌다. 그건 바로 둘 다 참여하지.. 더보기
2020년 민경채 PSAT 언어논리(가책형) 11번 오답 풀이 기호로 접근하기보다는 그림으로 직관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빠른 문제문제를 풀면서 모든 것을 기호로 보면 어쩔때는 기호로 봐도 답이 안 나오는 문제가 있는데, 이게 그 문제인 것 같다.그림을 그려서 직관적으로 이해하는 식으로, 그리고 선지를 잘 활용해서 대입하는 식으로 풀어야 하는 문제로 보인다.ㄱ에 들어갈 내용갑은 신입직원 가운데 일부가 봉사활동에 지원했다고 했으므로이런 상황이다.  이때, 아래와 같이 생각하는 것은 지양하는 것이 좋다.'신입직원 중에서' 봉사활동한 그룹을 묶어서 저렇게 표시할 수도 있겠지만이게 오히려 '봉사활동한 인원은 모두 신입직원이구나'라고 잘못 판단하게 할 수 있다.  그래서 그냥 이렇게 생각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뒤이어서, 을은 갑이 한 말을 근거로하계연수에 참여하지 않은 사람.. 더보기
2020년 민경채 PSAT 언어논리(가책형) 9번 오답 풀이 지문 이해하기일단 6 그룹까지 있다는 것은 알았다. 일단은 10m 이동하게 한 이후에 다리 길이를 조정한 것이다.  그랬더니1 그룹은 둥지에 도달하지 못한채로 멈췄고2 그룹은 둥지를 넘어서 더 가다가 멈췄고3 그룹만 둥지에서 멈춘 것이다.  그리고 4-6 그룹의 경우출발 전에 다리 길이를 조정했다.  그랬더니이번에는 차이가 없었다는 것이다.  이제 선지를 보면 1번. 개미의 이동 거리는 다리 길이에 비례한다.1-3 그룹을 보면 맞는 듯 싶지만, 4-6 그룹을 보면 다리 길이가 각각 다름에도 이동 거리가 동일한 것으로 봤을 때, 1번은 실험 결과를 가장 잘 설명하지 못한다.  1번. X 2번. 개미는 걸음 수에 따라서 이동 거리를 판단한다. 걸음수?걸음 수에 따라서 이동 거리를 판단한다고 하면, 어느정도 .. 더보기
2020년 민경채 PSAT 언어논리(가책형) 8번 오답 풀이 밑줄을 이상하게 그으면 틀린 판단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알려준 문제.틀린 이유를 생각해봤는데, 이건 그렇게 어려운 지문이 아니었다. 그렇지만 밑줄을 이상하게 그어서 틀린 생각을 하게 됐는데, 밑줄을 잘 긋든지, 아니면 조금 더 천천히 지문을 바라봐서 이해도를 조금 더 높였다면 충분히 풀고도 남을 문제였다.  아무래도 정확도를 좀 더 높이기 위해 너무 빠르게 읽으려고 하지는 말아야겠다.지문 이해하기'아이를 엄격하게 키우는 것' 그리고 '아이를 너그럽게 키우는 것'은 과학적 탐구의 범위에 속하는 진술이라고 한다. 아이를 엄격하게 키우는 것은 아이의 창조성을 해친다는 점,그리고 아이를 너그럽게 키우는 것은 자신의 잠재력을 발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는 점이 입증되었다고 쳤을 때,  '후자의 방식이 객관적으로 더 ..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