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상황판단

2011년 5급 공채 PSAT 상황판단(선책형) 3번 오답 풀이 1번정책관리계층은 중앙부처 4급 과장급 이상 정책실무계층은중앙부처 4급 사무관 실무집행계층은 중앙부처 6급 주무관 으로 나뉜다.  그래서 1번에서 나온 것은 정책실무계층이 정책관리계층을 놓고 판단하는 것이다. 정책실무계층은 정책관리계층에게 가장 필요한 역량으로 합리적 의사결정을 들고 있으며... 이를 봤을 때 이성적 판단은 합리적 의사결정과 연결이 된다.  합리적 의사결정이 정책실무계층 입장에서 정책관리계층을 봤을 때 가장 필요한 역량으로 꼽히는 만큼,  정책실무계층(이 경우에서는 중앙부처 A사무관)이 정책관리계층(이 경우에서는 과장님)에게 합리적 의사결정(이성적 판단)을 내리라는 생각을 가질 수 있다.  그런 면에서 1번은 지문 내용과 부합한다.  1번. O 개인적으로 1번을 골라서 틀렸는데, 정책관리.. 더보기
2011년 5급 공채 PSAT 상황판단(선책형) 2번 오답 풀이 똑바로 안 보면 무조건 틀리는 낚시성 문제대충 내용 보고 '음 그렇겠지'라고(ㄴ. 특히) 넘어가다가 틀린 문제다. 역시 꼼꼼하게 읽을 필요가 있겠다.ㄱ. 통제영 귀선의 포구멍은 총 72개이며 전라좌수영 귀선의 포구멍은 총 34개이다.이거 좌우 각각이라는 표현 놓치면 헤메기 너무 쉬운 선택지다.통제영 귀선 포구멍 수좌우 방패판에는 각각 22개씩의 포구멍을 뚫었으며.. 여기서 일단 좌측 22개, 우측 22개 합해서 44개 확보 거북머리 위에도 2개의 포구멍을 뚫었고.. 이러면 46개 확보 ...아래에 2개의 문을 설치 했으며 그 옆에는 각각 포구멍을 1개씩 내었다. 문 옆에 포구멍을 1개씩 내었는데 문이 2개 있으므로 2개.  48개 확보 좌우 복판에도 또한 각각 12개의 포구멍을 뚫었으며... 좌우 복판에.. 더보기
2019년 민경채 PSAT 상황판단(나책형) 22번 오답 풀이 그럴수도 있지만 확실히는 모르겠다라.. 어쩌라는 거지일단, 5명은 각자 자기 생일을 알고 있다. 그리고 3월생이 2명, 6월생이 1명, 그리고 9월생이 2명이라는 것만 안다.  본인이 3월생이라면 생일이 6월생이나 9월생보다는 빠르다는 것은 안다.근데 3월생이 2명 있다는 데에서, 가장 빠른지는 모르는 것이다. 그래서 지나는 3월생이다. 5명이 한 자리에 모여서 대화를 나누고 있으므로지나는 3월생이라는 것을 모두가 알게 됐다.  그렇다면 혜명이도 3월생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나머지 남은 사람은 정선, 민경, 효인 3사람이다.  앞선 대화에서 지나하고 혜명이 3월달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이제 6월생하고 9월생밖에 안 남은 것인데,  민경이가 6월생이었다면 나머지 둘은 자동으로 9월생이 되기 때문에 모.. 더보기
2019년 민경채 PSAT 상황판단(나책형) 21번 오답 풀이 여기서부터 B시까지 거리의 딱 절반 만큼이 어디지?이게 무엇을 의미하는지 잘 파악이 안 되어 틀린 문제다. A, B, C는 일직선 상에 놓여 있고, 20분 뒤에 갑이 을에게 물어봤으므로을이 말한 '여기'에서부터 B시까지 거리가 X라면  그 절반은 X/2가 된다.  근데, 중요한 건, '여기서부터 B시까지 거리의 딱 절반 만큼 왔어'라고 한 것이다.  그러니까A시부터 을이 말한 '여기'까지의 거리는 X/2가 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A - B 거리는 1.5X가 되는 것이다.  X만 구하면 문제가 풀린다. 그리고 속력이 일정하므로 속력을 a라고 하면 이므로 20분이 1/3 시간임을 고려하면 0.5X = a*(1/3)가 된다. 마찬가지로, 이번에 을이 말한 '여기'도 B에서 Y 만큼 떨어진 곳이다.  그렇다.. 더보기
2019년 민경채 PSAT 상황판단(나책형) 20번 오답 풀이 사소한 실수로 틀린 문제그리 어려운 문제는 아닌데 숫자를 잘못 세다가 틀린 문제다  상위 등급의 비율을 최대 기준보다 낮게 배정할 경우에는 잔여 비율을 하위 등급 비율에 가산하여 배정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A 25% 주고 B 40% 줄 수 있는 것이다. 총원 20명이니까 최대 비율로 준다고 하면 A 6명B 7명C 7명D 0명F 0명이 가능하다.  ㄱ. 평정대상 전원에게 C+ 이상의 학점을 부여할 수 있다. 최대 비율로 주면A 6명B 7명C 7명D 0명F 0명이 가능하다.  근데  한편, A, B, C, D 각 등급 내에서 +와 0의 비율은 교수 재량으로 정할 수 있다.  +냐 0냐는 재량이기 때문에 C 7명 전원을 +로 줄 수 있는 것이다.  ㄱ. O ㄴ. 79점을 받은 학생이 받을 수 있는 가장.. 더보기
2019년 민경채 PSAT 상황판단(나책형) 18번 오답 풀이 시간 오래 걸릴 것 같아서 패스한 문제퍼즐을 맞추는 것인데, 일단 일일이 대입해 보는 수밖에 없을 것 같아서 넘어 갔다.  대신 이 문제도 마찬가지로 선지 활용을 잘 하면 더 쉽게 풀리는 것 같다.  1번. A - B - CA는 3의 배수의 것만 건드니까 3과 6만 보면 된다. 3과 6이 켜져 있으면 끄고, 꺼져 있으면 그대로 둔다.  3은 켜져 있지만 6은 꺼져 있으므로 3만 끈다. B는 2의 배수의 것만 건드니까 2, 4, 6만 보면 된다. 2, 4, 6이 켜져 있으면 끄고, 꺼져 있으면 켠다.  그러면 2는 끄고, 4와 6은 켠다.  이렇게 되면 1번은 답이 아니라는 것을 안다.  왜냐면 C는 3을 기준으로 왼쪽과 오른쪽 중 켜진 전구의 개수가 많은 쪽의 전구를 다 끄는데, 이러면 4와 6만 꺼지고.. 더보기
2019년 민경채 PSAT 상황판단(나책형) 7번 오답 풀이 선지 활용을 하지 않아서 막막했던 문제 갑 레스토랑의 청소시간은 영업일 저녁 9시부터 10시까지이다.  갑 레스토랑은 매주 1회 휴업일(수요일)을 제외하고 매일 영업한다. 이를 통해 수요일 빼고는 매일 청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A구역 청소는 일주일에 1회 한다.  B구역 청소는 일주일에 2회 하되, B구역 청소를 한 후 영업일과 휴업일을 가리지 않고 이틀 간은 B구역 청소를 하지 않는다. C구역 청소는 일주일에 3회 하되, 그 중 1회는 일요일에 한다. 일단 고정적인 것 하나를 찾았다. 중요한 사실 하나를 알아낸 것이다.일요일에 C를 하고 나면  청소의 효율성을 위하여 청소를 한 구역은 바로 다음 영업일에는 하지 않는다. 라는 조건 때문에 월요일에는 B 혹은 A구역을 청소해야 한다.  이제 여기서.. 더보기
2013년 민경채 PSAT 상황판단 (인책형) 25번 오답 풀이 정보가 부족하게 느껴져서 틀린 문제인도와 중국의 재배면적이 주어졌지만 다른 나라들의 면적은 주어지지 않았다. 다만 순위는 알 수 있다.  그리고 생산량도 정확히는 모른다. 그러나 단위면적 당 생산량은 A국과 일본만 주어졌고A국의 단위면적 당 생산량이 인도의 3배에 달한다는 것만 알 수 있다.  이제 를 보면 ㄱ. 중국의 단위면적 당 쌀 생산량은 인도의 약 2배이다.중국의 재배면적은 3,300인도는 4,300 A국의 단위면적 당 쌀 생산량이 5톤이고, 이게 인도의 3배라고 하니,  인도의 쌀 생산량은  ( 5/3 ) * 4,300 임을 알 수 있다. 근데, 이게 전 세계 생산량의 20%를 차지한다고 한다.  중국의 경우, 30%를 차지한다고 하니  인도 생산량에 1.5배를 하면 중국 생산량이 된다.  인도..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