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문 이해하기
알파 케로틴 분자가 나선 구조를 가지고 있다고 밝혀 냈다고 한다.
그리고
DNA가 알파 케로틴과 화학적 특성이 유사하기 때문에 나선 구조일 것이라고 보고 있다고 한다.
DNA 분자가 나선 구조일 것이라는 가정 하에서
나선 가닥의 수는 둘 또는 셋이라고 한다.
(이중이냐 삼중이냐)
그리고
염기 배열 위치도 두 가지인데,
1. 중추가 안쪽에, 그리고 염기가 바깥쪽
2. 염기들이 중추 안쪽
DNA가 이중나선이나 삼중나선일 수 있고
염기 배열 위치도 두 가지인 상황에서
DNA로 가능한 구조는 4가지라고 한다.
-염기 안쪽 이중나선
-염기 바깥쪽 이중나선
-염기 안쪽 삼중나선
-염기 바깥쪽 삼중나선
근데, 염기가 바깥에 있는 삼중나선 구조는 제외시켰다.
DNA는 많은 수의 물 분자와 결합하는데,
삼중나선은 물 분자와 너무 적게 결합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가능한 구조는 3가지가 된다.
-염기 안쪽 이중나선
-염기 바깥쪽 이중나선
-염기 안쪽 삼중나선
그리고 DNA 분자는 쌍을 이루고 있을 것이고, 그래서 이중나선 구조라고 가정하고 있다.
거의 모든 중요한 생물학적 대상이 쌍을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DNA가 삼중나선이 아닌, 이중나선이라면
염기가 안쪽에 있는지, 바깥 쪽에 있는지 묻고 있다.
그래서 X선 회절사진을 보니
염기들은 안쪽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한다.
그래서 결론은
DNA는 이중 나선이고, 염기들은 안쪽에 있다고 한다.
근데, 염기 안쪽 삼중나선 구조일 수도 있는 것이 아닌가?
이제 선지를 보자
1번
맞다.
결합할 수 있는 물 분자의 개수가 너무 적은 구조는
염기가 바깥쪽에 있는 삼중나선이지,
안쪽에 있는 삼중나선이 아니다.
염기가 안쪽에 있다는 것을 밝혀내었다면 가능한 구조로는
-염기 안쪽 이중나선
-염기 바깥쪽 삼중나선
이 되는데,
삼중나선에 대해서는 논한 바 없다.
거의 모든 중요한 생물학적 대상이 쌍을 이루고 있어서 DNA 분자 역시 쌍을 이루고 있다는,
그러니까 이중나선이라는 것은 가정일 뿐이다.
그러므로 염기가 안쪽에 있는 삼중나선에 대해서도 논했어야 한다.
1번. O
2번
화학적 특성은 초반에 나왔다.
화학적 특성들이 유사하기 때문에 분자의 구조 또한 유사할 것이라는 생각에
DNA 분자가 나선구조일 것이라고 시작한 것인데,
이 전제가 부정되면 DNA가 이중나선이니, 삼중나선이니 하는 것은 논할 것도 없다.
애초에 나선인지도 모르는 상황이 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2번. X
3번
아니다. DNA 분자가 이중나선 구조라는 것에 대한 근거는
여기서 찾을 수 있다. 중요한 생물학적 대상이 쌍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DNA 또한 쌍을 이루고 있고, 그래서 이중나선이라고 생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근데, 이건 가정이다.
3번. X
4번
아니다. X선 회절사진 이미지는
염기가 안쪽에 있다는 것에 대한 근거로 사용되었다.
4번. X
5번
전혀 아니다. 나선형이라는 주장은
DNA가 알파 케로틴과 유사한 화학적 특성을 지녔기 때문에
DNA 분자 또한 나선 구조라는 데서 나왔다.
X선 회절사진은 DNA 분자 구조가 이중이냐, 삼중이냐,
그리고 염기가 안쪽에 있느냐, 바깥쪽에 있느냐를 보여준다.
5번. X
답: 1번
'PSAT > 언어논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3년 5급 공채 PSAT 언어논리(인책형) 39, 40번 오답 풀이 (0) | 2025.02.14 |
---|---|
2013년 5급 공채 PSAT 언어논리(인책형) 31번 오답 풀이 (0) | 2025.02.13 |
2013년 5급 공채 PSAT 언어논리(인책형) 12번 오답 풀이 (0) | 2025.02.12 |
2012년 5급 공채 PSAT 언어논리(인책형) 39, 40번 오답 풀이 (0) | 2025.01.25 |
2012년 5급 공채 PSAT 언어논리(인책형) 35번 오답 풀이 (0) | 2025.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