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AT 썸네일형 리스트형 2020년 민경채 PSAT 언어논리(가책형) 9번 오답 풀이 지문 이해하기일단 6 그룹까지 있다는 것은 알았다. 일단은 10m 이동하게 한 이후에 다리 길이를 조정한 것이다. 그랬더니1 그룹은 둥지에 도달하지 못한채로 멈췄고2 그룹은 둥지를 넘어서 더 가다가 멈췄고3 그룹만 둥지에서 멈춘 것이다. 그리고 4-6 그룹의 경우출발 전에 다리 길이를 조정했다. 그랬더니이번에는 차이가 없었다는 것이다. 이제 선지를 보면 1번. 개미의 이동 거리는 다리 길이에 비례한다.1-3 그룹을 보면 맞는 듯 싶지만, 4-6 그룹을 보면 다리 길이가 각각 다름에도 이동 거리가 동일한 것으로 봤을 때, 1번은 실험 결과를 가장 잘 설명하지 못한다. 1번. X 2번. 개미는 걸음 수에 따라서 이동 거리를 판단한다. 걸음수?걸음 수에 따라서 이동 거리를 판단한다고 하면, 어느정도 .. 더보기 2020년 민경채 PSAT 언어논리(가책형) 8번 오답 풀이 밑줄을 이상하게 그으면 틀린 판단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알려준 문제.틀린 이유를 생각해봤는데, 이건 그렇게 어려운 지문이 아니었다. 그렇지만 밑줄을 이상하게 그어서 틀린 생각을 하게 됐는데, 밑줄을 잘 긋든지, 아니면 조금 더 천천히 지문을 바라봐서 이해도를 조금 더 높였다면 충분히 풀고도 남을 문제였다. 아무래도 정확도를 좀 더 높이기 위해 너무 빠르게 읽으려고 하지는 말아야겠다.지문 이해하기'아이를 엄격하게 키우는 것' 그리고 '아이를 너그럽게 키우는 것'은 과학적 탐구의 범위에 속하는 진술이라고 한다. 아이를 엄격하게 키우는 것은 아이의 창조성을 해친다는 점,그리고 아이를 너그럽게 키우는 것은 자신의 잠재력을 발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는 점이 입증되었다고 쳤을 때, '후자의 방식이 객관적으로 더 .. 더보기 2011년 5급 공채 PSAT 자료해석(인책형) 31번 오답 풀이 선지에 없다고 고려해야 할 것을 배제하지 말자!당연한 것이지만 선지에 나와 있는 국가가 전부라고 생각해선 안 된다. 하지만, 전부라는 생각을 했고, 이 중에서만 비교했다가 틀린 문제다. 어이없는 실수는 방지해야 한다.연구개발단계니까 를 보자.일단 통신기술에 관한 것이다. 소수점은 반올림 해서 봤을 때, 일본부터 보면1+80+87+120 = 288 독일52+153+92 = 297 한국1+58+180+40 = 279 대만 32+88+63+16 = 199 중국30+102+60 = 192 '이러면 한국이 3번째 아닌가?'라는 생각이 든다. 근데, 선지에 나와 있는 국가 중에서 세번째로 값이 큰 국가를 구하는 것이 아니라, '에 제시된 국가 중'에서 세번째로 값이 큰 국가를 구하는 것이다. 그러니까 선지에 없.. 더보기 2011년 5급 공채 PSAT 자료해석(인책형) 28번 오답 풀이 ㄱ. '을' 지구에 공급하는 '임대주택'의 조례상 최소 공급량은 495호이다.'을' 지구의 주택 공급호수는4942호로, 4942의 10분의 1은 494.2로, 이 이상 공급하려면 495호가 공급되어야 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1,500호 미만을 공급하는 사업대상구역은 제외하므로 380.5호 이상, 그러니까 최소 381호가 공급되어야 한다. ㄱ. X ㄴ. 갑2구역에는 해당 사업대상구역 거주세대 수의 3배 이상의 주택공급이 계획되어 있다.갑2구역의 거주세대는 2470세대가 있다. 3배를 하면 7410세대가 된다. 한편, 갑2구역에는 5,134호가 공급되는 것으로 계획되어 있다. 한 호당 한 세대씩 입주하므로 3배 이상의 주택공급이 계획되어 있지 않다. ㄴ. X ㄷ. 모든 사업대상지구의 주택공급계획에.. 더보기 2011년 5급 공채 PSAT 자료해석(인책형) 22번 오답 풀이 곱셈비교 및 분수비교 문제이번 문제를 통해 분수비교 문제가 많이 까다롭다는 것을 알게 됐다. 선지 플레이를 잘 해서 어려운 선지는 그냥 지나치는 식으로 빠르게 넘어가는 것이 맞는데, 그런 의미에서 분수비교는 웬만하면 넘어가는 식으로 해야겠다는 것을 알려준 문제다. (물론, 곱셈비교와 마찬가지로 공통된 수가 많다면 괜찮은데, 다른 게 너무 많다면 무조건 패스해야 하는 것으로 보인다.) ㄱ.에서 곱셈비교만 잘 했으면 ㄴ.에서 힘 뺄 일도 없었던 문제다. ㄱ. 조사대상 기업 중에서 적자로 보고한 기업 수는 2005년에 최대, 2003년에 최소이다.적자로 보고한 기업 수 = 적자보고율 x 조사대상 기업 수가 된다. 곱셈비교 문제인데, 이와 관련한 문제는 아래와 같다.2024.12.01 - [PSAT/자료해석].. 더보기 2011년 5급 공채 PSAT 자료해석 20번(인책형) 오답 풀이 곱셈비교 문제곱해지는 두 수의 비율을 비교하고 (작은 수에서 큰 수로, 대략 어느정도 증가했는지)그 중 증가율이 더 큰 쪽을 큰 수로 판단하는 것이다. 위의 예에서, 870에서 950 증가한 것은 80만큼 증가한 것으로, 870의 10%도 안 된다. 근데, 450에서 550이 된 것은 100만큼 증가한 것으로, 당연히 450의 10%를 넘는다. 그렇기 때문에 증가율이 더 큰 쪽(이 때, 450이 있는 쪽을 더 큰 쪽이라고 잘못 보면 안 된다.)을 더 큰 수로 보는 것이다. 신규 환승정책 시행 전 교통요금신규 환승정책 시행 전에는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할 때마다 각각의 기본요금을 지불하고지하철과 버스의 기본요금은 950원으로 동일하므로 A - (950+950)*1650 = 1900*1650B - (9.. 더보기 2011년 5급 공채 PSAT 자료해석(인책형) 19번 오답 풀이 ㄱ. 학년이 높아질수록 자격증 취득을 계획하는 학생 수가 각 학년의 학생 수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지는지?일단 괄호 안의 값을 가로로 봤을 때, 각 학년의 학생 수에서 각 활동을 계획하고 있는 학생 수가 차지하는 비율임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자격증 취득을 계획하고 있는 학생 수가 각 학년의 학생 수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기타 제외, 봉사활동 계획하고 있는 학생 수가 각 학년의 학생 수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모든 학년에서 가장 낮은지?기타를 제외하면 가장 낮은 것으로 보인다. ㄱ. O ㄴ.아르바이트를 하고자 하는 학생의 40%이상이 1학년인지?아르바이트를 하려는 학생 수는 144명으로, 그 중 1학년에는 54명이 있다. 144의 40%라면 적어도 56은 넘어야 한다... 더보기 2011년 5급 공채 PSAT 자료해석(인책형) 11번 오답 풀이 20%p와 20%는 다르다는 것은 아는데, 20% 이상 올랐다면 20%p 이상 올랐다고 볼 수 있지 않을까?40%에서 60%가 됐을 때 20%p가 올랐다고 한다. 이것만 봐도 20% 이상 올랐다고 20%p 이상 올랐다고 볼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40%에서 60% 오른 것은 50%에 오른 것에 해당하는데, 20% 올랐다면 40%에서 48%가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근데 이를 두고 20%p 올랐다고 하지는 않는다. 이를 오해해서 틀린 문제다. ㄱ. 2006년2006년에 부재자 투표에서 가장 많은 득표수를 받은 후보자는 '병'이지만 득표수 합이 가장 큰 후보자는 '무'다. 그러므로 ㄱ. X ㄴ.2006년과 2010년 모두 출마한 후보자는 '병'과 '무'다. 2006년 '병'과 '무'의 득표수20.. 더보기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 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