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우의 수

2013년 5급 공채 PSAT 상황판단(인책형) 15번 오답 풀이 ㄱ.일단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수가 무엇일지 보면9981이 가능할까? 라는 생각이 들지만  9장의 카드 중 같은 숫자가 적혀 있는 카드는 없으므로 불가능하다그렇다면 9872는? 가능하다. 그래서 가장 큰 숫자는 9872가 된다.  가장 작은 숫자는? 일단 천의 자리 수가 1로 시작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1202? 안 된다. 여기 백의 자리 수가 뭐가 들어가든 동일한 숫자가 나올 것이기에 천의 자리 수는 2부터 시작하는 것으로 보자 그러면 2306? 0이 없다. 안 된다. 2612도 안 되고 2714가 된다.  2714가 가장 작은 수가 된다.  그럼 9872 - 2714 = 7158 그러므로 ㄱ. O ㄴ.일단 천의 자리가 5이면 51 안 되고52 안 되고(5210이 되므로)53 안 된다(5.. 더보기
2012년 5급 공채 PSAT 상황판단(인책형) 37번 오답풀이 조선왕조의궤 연도를 알 수 있게 해주는 조건 찾기발문을 잘 확인해야 한다. 여기에 목적이 적혀 있다.  기호화하기지정된 게 7개라고 한다. 동의보감 - 동승정원일기 - 승조선왕조실록 - 조실조선왕조의궤 - 조의직지심체요절 - 직팔만대장경판 - 팔훈민정음 - 훈 다 쓰고 있기 어려우니 이렇게 기호화한다.  2010년 현재 7개라고 했는데, 97년 - 2개01년 - 2개07년 - 2개09년 - 1개 이를 통해 10년도에는 지정된 게 없고, 위 4개 연도만 고려하면 됨을 알 수 있다 . 조건 보기일단 이렇게 표를 만든다.이제 조건을 보자이 조건으로 연도를 정확히 알기 어렵기 때문에일단 그러려니 한다. 오케이 그러면 적어도 훈은 09년도에 지정되지 않았다. 마찬가지로, 직도 09년도에 지정되지 않았다.일단 패스.. 더보기
2012년 5급 공채 PSAT 상황판단(인책형) 17번 오답 풀이 각 인원이 먹을 수 있는 피자 파악하기일단 각 조각에 알파벳을 부여하면이렇게 된다. 이런 식으로 다 정리해 보면무는 A하고 C밖에 먹을 것이 없다. 이에 따라 갑, 을은 C를 먹을 수 없고, 병은 A를 먹을 수 없다.그리고 보면 G하고 I는 병밖에 먹을 사람이 없는 만큼,병은 G하고 I를 먹어야 한다.  그러고 보니 정은 J를, 을은 E를 먹어야 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제 갑이 D, FF, HD, H를 먹는 3가지 경우를 생각해 보자. 2024.11.19 - [PSAT/상황판단] - 2011년 5급 공채 PSAT 상황판단(선책형) 11번 오답 풀이 2011년 5급 공채 PSAT 상황판단(선책형) 11번 오답 풀이문제 이해하기인접한 하나의 우물로부터 식수를 받아야 하는데좌/우, 상/하 상관은 없다.근데 대..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