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SAT/상황판단

2014년 5급 공채 PSAT 상황판단(A책형) 14번 오답 풀이

반응형

왜 답이 1번이 아닐까?

공정(1)을 통해 갑회사와 을회사의 물을 살균하면 

갑회사의 물에는 A균이 1L 당 100마리가 남게 되고

을회사의 물에는 B균이 200마리가 남게 된다.

갑회사와 을회사의 물 모두 원래 1L 당 A균과 B균이 각각 1000마리씩 존재했지만

살균을 통해 A균은 90%(900마리), B균은 80%(800마리)가 죽기 때문이다. 

 

그리고 공정 (2-1)을 통해서 갑회사의 물에는 10마리의 A균만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00도에서 10분간 가열하면 균의 90%가 죽기 때문이다.

 

공정 (2-2)를 거치면 을회사의 물에 40마리의 B균만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00마리에서 80%가 걸러지면 40마리만 남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공정 1과 2를 거치면 

갑회사의 물에는 1L 당 A균이 10마리 존재

을회사의 물에는 1L 당 B 균이 40마리 존재

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제 공정 (3)으로 넘어가면

1:1의 비율로 배합한다고 하는데, 여기서 잘못된 답을 내릴 수 있는 것이다. 

 

칵테일을 떠올려보자

알코올 도수 40%인 보드카를

알코올 도수 0%인 오렌지 주스와 섞을 때,

정확한 알코올 도수는 모르겠지만 일단 40%보다는 낮을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이런 경우라고 할 수 있다.

그럼, 정확한 알코올 도수를 알려면?

보드카를 얼마나 넣었고, 오렌지 주스를 얼마나 넣었느냐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어, 각각 100ml 씩, 그러니까 1:1로 섞었다면

알코올 도수는 20%가 된다. 

 

자세한 과정은 다음 문제 참조

2024.10.29 - [PSAT/자료해석] - 2018 민경채 PSAT 자료해석 24번 오답 풀이

 

2018 민경채 PSAT 자료해석 24번 오답 풀이

농도 문제인데, 어떻게 푸는지 까먹어서 틀린 문제평균을 묻는 것인데 무슨 농도 문제냐고 할 수도 있다. 그러나 그냥 물이 있고, 소금이 있는 상황에서, 물이 몇 L 있고 소금이 몇 % 있느냐에 따

ltp12074.com

그럼 보드카 200ml, 오렌지 주스 100ml일 때에는? 

2:1이므로

40 - X : X = 1 : 2

X = 40*(2/3)이 된다. 

 

3:1, 4:1 일때에도 동일하다. 

3:1일 때에는 

X = 40*(3/4)

 

4:1일 때에는

X = 40*(4/5)

가 되는 것이다. 

 

그럼 우리가 마주하고 있는 문제는? 

 

일단 A균부터 보면

 

갑회사의 물에는 1L당 10마리가 있고, 

을회사에는 0마리가 있다. 

 

그럼 1:1로 배합한다고 하면 배합된 물에는 1L당 10/2 = 5마리가 있게 된다. 

 

이제 B균을 보면

갑회사의 물에는 1L당 0마리가 있고

을회사의 물에는 1L당 40마리가 있으므로

 

배합된 물에는 40/2 = 20마리가 존재하게 된다. 

 

 

그럼 결국 모든 공정을 거친 물에 A균과 B균이 각각 5마리, 20마리 존재하는 것이냐, 하면 그건 또 아니다. 

 

왜냐하면

공정 (3)을 거친 물의 온도는 60도이기 때문에 B균이 즉시 10% 증식하게 되고, 

그렇게 되면 B균이 1L당 22마리 존재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A균 5마리

B균 22마리인

 

4번이 답이 되는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