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SAT/상황판단

2013년 5급 공채 PSAT 상황판단(인책형) 2번 오답 풀이

반응형

무슨 2번부터 이렇게 어려워

보통 1페이지 문제는 다 풀고 넘어가는데, 이거는 좀 넘길 필요가 있는 문제인 것 같다.

딱 봐도 날짜 계산이 동반되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근데, 날짜 계산 관련해서 의미 있는 문제인 것 같다.

지문을 다 읽어야 하는 문제

상황판단에서는 선택지를 보고 '발췌독'이라고 알려진 읽기 기술을 활용하는데, 

이 문제에서는 일단 절기에 대해 이해를 해야 하기 때문에 일단은 글을 읽어야 하는 문제다. 

24절기가 12개의 절기와 12개의 중기로 나눠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각 달마다 절기가 먼저고 중기가 나중이다.

 

그리고 절기와 중기를 나누는 방법은

황경이 15도 간격으로 증가할 때마다 절기와 중기가 바뛴다고 하고, 

춘분은 황경이 0도일 때라고 한다. 

그러니까 예를 들어, 소한이었을 때 황경이 15도 증가하면 대한이 되고

여기서 또 15도 증가하면 입춘이 되고 이런 식이다. 

 

근데, 15도 증가하려면 얼마가 걸리는데?

보통 15일 걸리는데, 일부는 15일보다 하루 길거나 짧을 수도 있다고 한다. 

 

이제 상황을 보자

그렇다면

예외의 간격은 위와 같이 표시할 수 있다. 

나머지는 모두 15일 간격이다. 

 

그럼 경칩은 3.6일임을 쉽게 알 수 있다. 

그럼 청명은? 

3월에는 31일까지 있기 때문에

2024.11.07 - [PSAT/상황판단] - 2015년 민경채 PSAT 상황판단(인책형) 24번 오답 풀이

 

2015년 민경채 PSAT 상황판단(인책형) 24번 오답 풀이

7월 마지막 날이 언제인지 몰라서 접근이 너무 어려웠던 문제31일이 들어가는 달에는 1, 3, 5, 7, 8, 10, 12월7개의 달이 있고 30일이 들어가는 달에는4, 6, 9, 11월4개의 달이 있으며 28일(혹은 29일)이

ltp12074.com

(각 달에 몇 일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위 문제 참고)

3.21에 15일을 더하면 3. 36이 된다. 

 

3월에는 31일까지 있으므로 나머지 5일은 

4월 5일이 된다. 

그래서 청명은 4.5가 됨을 알 수 있다. 

 

아무튼, 이런 식이다. 

보통 2월에 28일까지 있지만 간혹 29일까지 있는 날도 있다. 

근데, 28일까지 있다고 한다. 

 

이제 선지를 보자. 

 

1번

여름의 첫날은 입하라고 한다. 

청명하고 곡우에 대해 따로 명시된 게 없으므로 15일 차이가 난다. 

그러면 곡우는 4.20이 된다. 

 

그리고 곡우하고 입하까지 16일 차이가 나므로

 

4월 36일이 입하인데, 

4월에는 30일까지 있으므로 

4월 36일은 5월 6일이 된다. 

 

그러므로 1번. X

 

2번

이건 쉽다. 일부 절기 사이의 간격이 하루 늘거나 줄기도 한다고 하니까 고정적인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2번. O

 

3번

60도면 15*4. 

그러니까 4절기 차이가 나는 건데, 

춘분이 0도이므로 춘분을 기준으로 4개 절기 차이 나는 것을 찾으면

소만이 된다. 

 

3번. O

 

4번

120도면 60도가 15*4이므로 8개 절기 차이 나는 곳이다. 

대서를 의미하는 것인데, 

7월 24일이 대서에 해당하는지 1번처럼 꼭 계산을 해야 할까?

그럴 필요가 없다. 

어차피 7월 24일이 소서냐, 대서냐 그것만 알면 되는데, 

소서하고 대서하고 16일 차이가 난다. 

 

7월 마지막 날은 30일이므로

대서가 7월 30일이라고 해도 소서 마지막 날은 7월 14일이 된다. 

그러므로 7월 24일은 대서에 속한다. 

 

4번. O

 

5번


입춘부터 곡우까지는 계속 15일 간격이다. 

근데, 한로부터 동지까지 보면 게속 15일 간격이다가 

소설 - 대설 간격에서 14일 간격을 보인다. 

 

그렇다면 입춘부터 곡우까지 날짜 간격이 더 길다고 할 수 있다. 

 

5번. O

반응형